나도 여기에 기여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어 조심스럽지만, 이전에 비해 인터넷이 너무나 유독해졌음을 느낀다.
내가 처음 인터넷을 접했을 때는 이 공간이 생경했고, 모두가 화면 너머에 실제 사람이 있음을 인지하던 시절이었다. 그리고 적어도 자정작용이 있었다. 규범이 있었고 최소한의 예의와 존중 위에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이런 분위기에 균열이 생긴 첫 번째 요인은 익명 커뮤니티의 활성화다. 익명 커뮤니티가 '솔직함'을 무기로 하고 의견 개진에 부담을 줄인 점이 매력이 되어 급속히 성장했다. 그리고 페이지랭크를 등에 업고 구글 등의 검색엔진을 통한 SEO로 커뮤니티에는 더욱 큰 가치가 생겨 지금도 한국 인터넷 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다음 요인은 파편화와 알고리즘이다. 이전에는 다 같이 모인 공간에서 조금은 불편하더라도 사회적 합의에 의해 정해진 룰 위에서 자정작용이 이루어졌다. 심지어 기술이 낙후되어 차단 기능 자체도 없었다. 좋든 싫든 글을 봐야 했고, 운영자가 제재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차단 기능이 없는 커뮤니티를 찾기 힘들다. 모두가 본인이 듣고 싶은 글만 보고 챔버 효과로 그들의 목소리는 강화된다. 많은 시간을 가진 사람이 기억과 기록을 본인의 의도에 맞게 조작하고, 사람들은 그것을 진실로 여긴다.
이러한 기술들은 체류 시간과 활성 지표를 향상시키고, 기업의 수익화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역설적이게도 기술이 편리해짐으로써 유저들간의 기본적인 존중과 예의는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인터넷 공간에서만 일어난 일이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대중의 생각을 잠식한다. 이제는 카페에 올라온 누가 쓴 지도 모르는 글이 지상파 뉴스의 한 꼭지를 장식한다.
생면부지의 사람들을 혐오하는 의견이 허구한날 올라오며, '좋아요'의 숫자로 이전같으면 그냥 헛소리로 치부될 의견마저도 설득력을 얻게 된다. 다들 스크린 뒤에 사람이 있다는 걸 잊은 것 같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이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사실은 그래서 마땅한 답은 없고 이 문제는 인터넷이 사라지기 전까지는 안고 갈 수밖에 없다.
개인의 힘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이 문제가 나에게 영향을 주지 않게 할 수는 있다. 다시 온라인에서 탈출해 오프라인으로 회귀하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편향된 사고를 가질 수 있어 차단 기능을 쓰는 것은 싫어하지만, 의견의 다름과 상관없이 기본적인 예의를 지키지 않는 이들은 차단한다.
AI가 중간 버퍼의 역할을 해준다는 것에 놀라움을 느끼기도 한다. 내 생각을 굳이 익명의 타인과 공유하며 상처를 받지 않아도, 대중의 생각을 필터링하여 나에게 알려주는 AI 에이전트와 대화하는 것이 훨씬 유익하고 감정 소비도 덜하다.
오랫동안 인터넷 위에서 비즈니스를 해왔던 나로서는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지만, 이젠 모니터 밖으로 시야를 돌려 새로운 기회를 찾을 때가 된 것 같다. 이대로 가다간 나마저 미쳐버릴 수도 있으니까.